프로젝트를 하다보면 프로젝트 폴더에 여러 파일을 다운받거나 수정하게된다.

react 같은 경우 module 들을 하나 둘 씩 다운받다보면 새로운 파일들이 많이 생기고 "git status"에 항상 검색이 되서

필요한 파일만 github repo에 push하고 싶을 때 불편함이 있다.

이런 경우처럼 git repo에 업로드 하지 않을 파일들을 기록하는게 .gitignore이다.

 

파일 이름 앞에 .이 붙어있는 것으로 보아 이 파일은 숨김 파일로 되어 있다.

작성방법은 어렵지 않다. 보통 아래 상화에서 많이 사용한다.

 

1. 하나의 파일을 제외하고 싶을 때

[파일 이름].[파일 확장자]

2. 특정 폴더내의 파일 모두를 제외하고 싶을 때

[폴더 이름]/

3. 특정 확장자 파일 모두를 제외하고 싶을 때

*.[확장자]

4. 제외하고 싶은 폴더가 어디에 있던지 간에 제외하고 싶을 때

**/[폴더 이름]/

이제 작성을 했으면 적용을 시켜야한다.

새로 작성한 .gitignore를 git repo에 push한다

git add .gitignore
git commit -m "add .gitignore"
git push [remote 이름] [branch 이름]

이렇게 하면 끝!! 이면 좋겠으나 repo의 캐쉬를 제거하고 다시 업로드해야하는 절차를 걸쳐야한다.

git rm -r --cache .     (꼭 . 을 붙여야 오류가 안난다..)
git add .
git commit -m "apply .gitignore"
git push [remote 이름] [branch 이름]

 

이렇게 하면 .gitignore에 추가한 폴더나 파일이 push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'CS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it 명령어 정리  (0) 2023.03.10
git과 github  (0) 2023.03.10

+ Recent posts